본문 바로가기

피아노16

피아노 건반의 무게감 피아노 건반의 무게감    건반이 무거운 피아노가 꼭 힘을 잘 받쳐주진 않는다. 이는 속도가 둔하게 떨어져 도리어 온전히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다. 힘과 속도가 둘 다 가능한 악기를 만들기 위해 건반은 음향공학에 입각해 제작한다. 사실 건반의 무게감 차이는 건반자체의 물리적인 무게가 아니라 압력, 즉 저항감을 통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저항감 때문에 상대적으로 무겁다고 느끼는 것이다. 무게감이란 힘을 받아서 전달하는 지렛대들이 교차하는 양의 크기를 의미한다. 그 교차하는 양이 적을수록 무게감이 떨어지듯 가볍게 느껴지고, 반대로 교차하는 양이 많을수록 건반이 무겁게 느껴진다.    따라서 건반의 균일함은 단순히 연주자의 기량뿐만 아니라 해머가 움직이는 운동거리의 효율에 의해서 일정부분 힘이 만들어진.. 2025. 1. 26.
소리의 유연함이 악기에 미치는 영향 소리의 유연함이 악기에 미치는 영향    시간이 지날수록 악기는 이질감을 만들어내기 시작한다. 이질감이란 거칠고 섬세함이 점점 사라지듯 악기의 상태가 변질되는 것을 말한다. 악기의 변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피아노의 빠른 움직임이 강한 마찰과 저항을 만드는데, 이로 인해 속도가 떨어지면서 강한 경직성을 일으켜 오래 사용하게 될 시 악기가 제 기능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물론 피아노는 연주자의 역량에 따라 소리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지만, 원론적으로 피아노는 음악을 연주하는 악기인 동시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기계장치이다.소리의 유연함과 부드러운 악기의 움직임은 피아노의 컨디션에 따라 악기의 내구성과 효율성을 결정한다. 연주자는 역량에 따라 나오는 에.. 2025. 1. 24.
피아노 줄이 음향에 미치는 영향 피아노 줄이 음향에 미치는 영향     철은 과거에 연금술에 대한 연구 과정 속에서 합금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소재들(철 소재, 알루미늄)로 개발되었다. 사람들은 담금질을 통해 철의 강도를 높이고, 탄성과 유연성을 가진 소재들을 제작하는 데 힘썼다. 마찬가지로 피아노 줄도 이러한 과정 속에서 개발되었다. 탄성이 강한 철 소재를 피아노 제작에 사용한 것이다. 피아노줄이 연주자가 가하는 힘을 버티고 감당하려면 강한 탄성의 철 소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탄성은 늘어났다가 다시 돌아오는 지점의 발달된 정도와 그 강도에 따라 힘의 크기가 달라진다. 당시엔 강한 힘을 만들어내는 것이 예쁜 소리를 개발하는 것보다 우선이었기에 기존의 나무소재 제작이 아닌 철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악기를 통해 연주자가 강한 힘을 작.. 2025. 1. 24.
피아노의 기계적 속도와 음향적 속도 피아노의 기계적 속도와 음향적 속도   연주자의 생각과 움직임은 악기 내 기계의 메카니즘에 의해 나타난 소리의 출력과 효율을 만나야 가능해진다. 따라서 연주자가 들인 에너지가 모두 출력의 전부이듯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노동력이 곧 생산이었던 가내수공업 방식과 달리 오늘날 사회는 내 노동력 뿐만 아니라 누군가의 노동력이 결합된 효율적인 형태를 보인다. 산업혁명 이후 기계적 힘을 적극 수용하여 변형한 생산방식으로, 이는 악기를 제작하는 것과 그 기능을 보강하는 데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쳤다. 기계의 힘을 받아 효율적으로 연주하는 방식을 추구한 것이다. 이제 피아노의 반응속도는 기계가 움직이는 기계적인 속도에 의해 반응하는 것을 포함해 작용한다. 가령 그랜드 피아노의 경우 연타 스프링과 함께 반응속도가 결정.. 2025. 1. 23.
댐퍼의 움직임과 건반의 무게감 댐퍼의 움직임  모든 움직임은 어떤 에너지원을 필요로 한다. 비행기의 경우 공기를 가지고 만드는 힘인 양력이 필요하다. 배는 구조적인 특성을 이용한 부력을 통해 물에 떠다닐 수 있다. 이처럼 기계를 통해 사람이 어떤 효과를 얻기 위해선 기계자체가 발생시키는 에너지원을 필요로 한다. 즉, 기계는 운동에너지가 작용한다. 피아노 역시 이와 같은 운동에너지가 발생하는데, 종합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연주 소리는 연주자가 건반을 누르는 에너지 자체만으로 소리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건반 내 기계장치들의 운동에너지와 함께 발생된다. 건반 내 기계장치들은 해머라는 회전체가 원운동을 하게끔 설치되어 있다. 이 운동에너지를 어떻게 집중시키고 분산시키느냐에 따라 소리가 다르게 발생할 수 있다.      건반을 누를 때 증폭되.. 2025. 1. 23.
철프레임과 피아노 음향 철프레임   쳄발로는 나무 소재였으나 이후 크리스토포리가 처음으로 4옥타브 범위를 갖는 타현악기식 피아노를 고안하였다. 이는 작은 공간에서 연주하기엔 적합하였으나 큰소리를 만들기엔 한계가 있었다. 이후 피아노 제조사들은 더 큰 공간에서 연주할 수 있는 피아노를 제작하고자 철 프레임을 소재로 사용하였다. 당시 피아노는 산업혁명과 기계산업의 발달로 이전보다 훨씬 개량되고 발전될 수 있었다. 산업혁명을 통해 중산층 비중이 증가하면서 일반인들이 문화를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되고, 이에 따라 관중석이 많이 설치되어 있는 큰 규모의 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작은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나무소재의 피아노는 큰 공간의 울림과 에너지를 표현하기엔 한계가 있었기에, 이후 피아노 제조사들은 건반과 현의 갯수를 증가시키.. 2025. 1. 2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