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0

연주 중에 생기는 불안감을 다루는 정신적 연습과 그 외 불안극복방법 피아노 연습을 할 때 한국은 보통 신체적인 테크닉에만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수많은 연주자들이 무대에서 겪는 불안감을 다루지 못해 크게 실수하곤 한다. 이러한 불안요인들을 직면하여 다루지 않고 회피한다면, 결국 트라우마가 생겨 사소한 일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다. 잊고 싶은 상황에 대한 기억은 회피할수록 더 강하게 떠오르기 마련이다. 오늘은 이같이 연주 중에 생기는 불안감을 다루는 정신적 연습에 대해 제시해보고자 한다.  정신적연습​문제의 원인은 머릿속에서부터 시작된다. 표현하고자 하는 악상이 머릿속에 구상되어야 표현력 있는 연주가 가능해진다. 연습이 진전이 없고 힘든 이유는 머릿속에 무엇을 어떻게 연습해야 할 지에 대한 개념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현하고자 하는 악상을 머릿속에 구상하는 것.. 2025. 1. 22.
연주불안 연주불안     연주불안은 연주자가 갖는 심리적인 내적갈등 또는 통제되지 않는 감정으로, 연습부족과 암보불안이 주된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는 음악을 전공하는 이들 뿐만 아니라 취미생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다. 불안의 또다른 원인은 많은 사람 앞에서 연주해야 하는 심리적 부담으로부터 생긴다. 이러한 불안은 억제하려고 노력하기보다 받아들이고 인정함으로써 자신의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들을 직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니콜스는 연주자가 자신에게 더 엄격하고 연습과정에서도 더욱 어려움을 느낀다고 말한다. 연주자가 겪는 무대공포증의 주된 원인은 연주자가 혼자 연습하기 때문에 실제 연주에서 설 경우 많은 청중에 의해 심리적으로 압도될 수 있다. 이러한 공포심은 연주환경과 연주를 듣는 대상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 2025. 1. 22.
효율적 암보 학습 효율적 암보 학습    암보로 연주할 경우 자신의 소리를 더 예민하게 들을 수 있기에 연주에 집중할 수 있고, 신체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으며, 보다 자유롭게 청중과 소통할 수 있다. 암보의 목적은 연주의 효율성을 위한 것이지만, 암보에 대한 강박관념은 연주에 저해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성공적인 연주를 위해선 확실한 암보가 필수적이다. 암보는 인간의 인지적 능력과 깊은 관계가 있다. 따라서 인지적인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감각적 암보​  인간은 감각신경을 통해 입력되는 많은 정보 중에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들을 선별하여 기억한다. 감각적인 신경의 기능은 암보를 하기 위한 최초의 조건이 될 수 있으며, 피아노와 관련된 다양한 신체적 움직임은 암보에 기초가 되는 요소이다.1) .. 2025. 1. 21.
반주자: Collaborative Pianist , accompanist 에 대하여 반주자    앙상블에서 피아노 연주자를 지칭하는 용어는 현대에 와서 그 명칭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과거에는 반주자를 지칭하는 accompanist가 정적인 개념으로, 조금은 제한적인 역할을 내포하는 명칭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Collaborative Pianist라는 명칭이 등장하면서 이전보다 협조적이고 동반자적인 성격을 나타내는 의미의 변환은 반주자에게 있어 능동적인 면을 가져오게 했다. 솔리스트로서 음악적 이상을 실현하는 것도 중요한 경험이지만  개인적인 경험상 역설적이게도 앙상블은 그 음악적 이상을 솔리스트인 상태에서도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관계 속에서 배워가는 음악은 다각적으로 소통하는 법을 가르쳐준다. 어떤 악기와 연주하느냐에 따라 악기별로 느.. 2025. 1.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