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템포
2.템포를 측정하는 다양한 기준
2-1.크반츠
2-2.이탈리아식 템포표기
2-3.모차르트
2-4.M.M
2-5.아고긱 루바토
템포
템포는 이태리어로 '시간'을 의미한다. 음악에서 템포는 작품의 진행 빠르기를 결정하며, 진행하는 연주 속도와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 오늘 다뤄볼 주제는 템포에 관한 시대별 빠르기 기준과 그 기준을 정하는 방식에 대해 여러가지를 다뤄볼 예정이다. 시대별로 다양한 음악작품이 존재하듯 마찬가지로 그에 따른 템포의 변화와 기준 또한 다양하다.
템포를 측정하는 다양한 기준
크반츠 (Johann Joachim Quantz)
크반츠는 인간의 맥박수를 기준으로 템포를 정했다. 연주빠르기는 알라 브레베(2/2박자)경우 4/4박자보다 배의 빠르기로, 즉흥적인 성격을 갖는 작품의 경우(ex. Prelue와 Toccata) 템포에 변화를 주었으며, 모음곡, Fuga는 앞서 언급한 즉흥성을 띠는 작품과 반대로 템포에 변화를 많이 주지 않고 연주하였다.
이탈리아식 템포표기
고전주의 작곡가들에 의해서 널리 사용된 템포표기방식으로, 현재 연주가들이 사용하는 표준화된 방식이다. 템포는 인체의 기본적인 박자개념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걸음걸이를 사용하였다.
모차르트
모차르트는 악보에 템포표기를 하지 않았지만, 연주 빠르기는 하단의 빠르기를 기준으로 통용되어 사용하고 있다.
1. Andante: 현재의 Andante와 Allegro 사이의 템포, 생각보다 움직임이 있는 느린템포이다.
2. 2/2박자 (alla breve): 크반츠의 주장과 동일하게 거의 배의 빠르기로 연주한다.
그러나 느린 템포의 알라 브레베의 경우 빠르게 연주하지 않고, 한 마디 내 두 번의 엑센트를 붙여서 연주한다.
M.M
maelzel metronome(멜첼 메트로놈)의 약자로, 흔히 우리가 메트로놈이라 알고있는 박자기계를 발명한 독일인 이름이기도 하다. 멜체른 갈릴레오의 추를 인용하여 속도측정방법을 발전시켜 진동횟수를 기재하고 표준화시켰다. 진동수는 1분에 80이 기준이다. 즉 1분에 4분음표 80개를 진행할 속도로 연주하란 뜻이다.
베토벤
메트로놈을 처음 사용한 작곡가로 알려져있다. 실제로 본인이 템포를 기재한 작품은 해머 클라비어(Hammer Klavier) Op.106과 Symphony No.9 뿐이다.
메트로놈에 대한 부정적 시각
메트로놈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지닌 작곡가들도 몇몇 있다. 브람스는 템포를 메트로놈으로 측정하는 방식에 대하여 부정적인 견해를 가졌던 작곡가 중 한 사람이다. 그의 작품에선 메트로놈 표기를 찾기 어려우며, 실제로 지인에게 보낸 편지 내용엔 메트로놈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I think here as well as with all other music, the metronome is of no value...... As far at least as my experience goes, everybody has, sooner or later, withdrawn his metronome marks.
요약하자면, 메트로놈은 아무런 가치가 없다.... 적어도 내 경험 상 모두가 곧 메트로놈 이용 안할거다...
미안하지만 브람스씨..많이들 사용하더라고요...무슨 의미로 말한진 알겠어요...
아고긱 루바토 (agogic rubato)
낭만음악 연주에서 부분적인 템포 변화 시 사용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으로 쇼팽과 슈만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 리듬을 기계적으로 다루지 않고, 템포에 미묘한 변화를 주어 풍부하게 표현하는 방식인데, 때때로 넓게 도약하여 음 간의 거리에 시간을 갖거나 불협화음에서 협화음으로 해결할 때 아고긱 루바토를 사용하여 풍부한 감정과 긴장감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agogic
accelerando, rallentando,stringendo,smorzano는 agogic이 내포하는 의미 중 몇 가지 표현법들에 해당된다.
rubato
rubato는 '뺏다'라는 의미를 가진 이태리 rubare 어원에서 유래한다. 음악적인 표현을 위해 전체의 기본적 템포는 변화시키지 않고, 한 프레이즈에서 특정한 음표의 길이를 느리거나 다른 부분을 축소시켜 템포의 융통성이 가능해진다. 루바토는 연주자의 재량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rubato 사용방법>
1.페르마타에 접근할 경우
2.절정인 클라이막스를 향해 점점 커지는 (crescendo) 경우
3.음악이 다시 주제로 되돌아가는 경우
4.모티브가 바뀌는 경우
상단의 경우에 루바토를 무조건 사용하는 것은 아니고, 음악의 진행을 고려하여 연주자의 재량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다.
루바토의 종류
선율적 루바토
왼손의 반주 부분을 같은 템포로 유지하면서 오른손 멜로디의 템포는 자유롭게 변화를 준다.
ex. 고전주의 느린악장, 리듬이 강조되는 춤곡(Mazurka 등)
구성적 루바토
반주와 멜로디의 템포를 같이 변화시켜 일시적으로 뒤로 잡아당기는 듯한 느낌을 준다.
ex. 화려한 음악적 효과 (프레스코발디-토카타,파르티타), 자주 주제가 바뀌는 음악 (론도,변주곡)
루바토 사용 시 주의사항
음악의 근본적인 리듬의 구성이 파괴되지 않도록, 곡 전체의 흐름이 깨지지 않는 선에서 루바토를 사용하여 연주하도록 한다.
'PIAN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대별 건반악기 꾸밈음 연주방법, 피아노 꾸밈음 종류 (2) | 2025.02.06 |
---|---|
피아노 페달 (2) | 2025.02.05 |
Gyorgy Sandor의 다섯 가지 기본 테크닉 패턴 (0) | 2025.02.03 |
피아노 기계적 장치와 소리변화 (0) | 2025.01.29 |
모차르트와 건반악기 (0)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