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IANO

피아노 건반의 깊이감

by kisney 2025. 1. 24.

피아노 건반의 깊이감

 

건반의 깊이감은 실제 물리적인 깊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건반의 깊이에 있어 실제 물리적인 거리가 멀 경우 도달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기에 오히려 손실이 많아져 연타 속도나 탄력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주자가 원하는 건반의 깊이감은 감각적인 공간의 텐션을 만들어내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 Unsplash 의 James Stamler

 

  건반의 깊이감은 크게 기계적인 깊이감과 음향적인 깊이감으로 구분한다. 기계적인 깊이감은 동작을 수행할 때 실제적인 모든 거리를 쓰지 않아서 오는 마지막 반발력 혹은 저항감을 통해 깊이감을 느끼는 경우를 말한다. 전체적인 기계 움직임과 사이클에 따라 무언가를 조절할 수 있는 깊이감이 생기는 것이다. 이는 연주자의 힘이 추가적으로 생기는 악기의 반발력 및 반발속도와 결합하여 조절할 수 있는 감각들을 연주자의 손끝을 통해 공간감을 느끼게 한다.

ⓒUnsplash 의 Josh Hild

 

  반면 음향적 깊이감은 소리가 빨리 열리느냐 혹은 느리게 열리느냐의 차이에서 오는 깊이감이다. 소리는 탄성과 충격응력, 그리고 응력이 폭발하면서 생기는 속도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한다. 음향적 깊이감은 이와 같이 소리의 깊이감과 깊은 연관이 있다. 탄성이 있고, 응력을 만들기에 모양이 충분한 형태일수록 음향적 깊이감을 주기 때문이다. 해머의 형태 또한 소리에 영향을 미친다. 해머모양이 곧 소리와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란형 해머일수록 소리가 쉽게 잘 나오고, 밝은 느낌의 소리가 만들어지며, 소리가 맺히는 지점이 빨라 다이내믹한 느낌을 잘 표현할 수 있다.

 

 

 

ⓒUnsplash 의 Josh Anderson

 

  또한 외부충격에 강하게 저항하는 소리이므로 오랫동안 소리를 유지할 수 있어 조율할 경우 소리가 시간이 지나도 빨리 변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소리의 넓이와 길이 및 깊이감을 계속 유지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반면 다이아몬드형 해머일수록 접촉하는 면이 좁아 에너지가 전달되는 확률이 커지므로 힘을 집중하는 능력이 뛰어나며, 반응속도가 훨씬 빠르다. 그러나 연주자에 따라 섬세하게 작동되기에 외부의 사소한 에너지 변화에도 언제든지 소리가 쉽게 변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모든 악기들은 소리를 유지하기 위해 제작된 것이 아니라 연주자의 섬세함에 따라 변화하도록 제작되었음을 고려하여 음향적 깊이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주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728x90
반응형